지역별, 가구별 다양한 특성과 수요에 부합하는
차별적 서비스(mass customized services)를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발굴, 집행하여 지역 주민이 체감하고 만족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 형성 가능성이 높은 분야의 발굴, 수요자의 구매력 보전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서비스 시장 형성 및 일자리 창출, 인적 자본 형성, 건강투자, 고령 근로촉진 등
사회투자적 성격의 사업을 집중 지원하여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및 사회 경제적 자립기반 확충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